본문 바로가기
경제

[경제용어] 파레토의 법칙 (Pareto's law)

by 해피다이어리 2023. 6. 30.
728x90
반응형
SMALL

20:80 법칙으로 잘 알려진 파테토의 법칙 

 

1. 파레토의 법칙

파레토의 법칙은 이탈리아의 경제학자 빌프레도 파레토의 이름을 딴 개념입니다. 이 원리는 대부분의 경우 효과의 약 80%가 원인 또는 입력의 20%에서 발생한다고 명시합니다. 다양한 분야와 현상에 적용할 수 있는 일반적인 현상일수도 있습니다.

빌프레도 파레토는 사회의 부의 분배를 연구하면서 이 원리를 처음으로 관찰했습니다. 그는 인구의 약 20%가 재산의 약 80%를 소유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이러한 발은 80/20 규칙의 공식화로 이어졌습니다. 그러나 구체적인 숫자 80과 20은 고정되어 있지 않으며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핵심 통찰력은 입력과 출력 사이의 불균형 또는 불균형 관계입니다.

 

반응형

 

2. 파레토의 법칙 적용



80/20 규칙은 그 이후 경제학을 넘어 수많은 분야에 적용되었습니다. 매출이나 이익에서 작은 비율의 고객이 차지하는 비중이 큰 경우가 많은 사업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프로젝트 관리에서는 소수의 작업이 프로젝트의 진행 또는 영향의 대부분에 기여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소수의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로 인해 상당한 수의 소프트웨어 버그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예제는 요인 또는 입력의 작은 부분 집합이 결과 또는 결과에 어떻게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보여줍니다.

80/20 규칙이 모든 상황에서 적용되는 보편적인 법은 아니라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숫자 80과 20은  정해져 있지 않고, 비율이 다를 수 있습니다. 이 원리는 불균일한 분포의 일반적인 경향이나 패턴을 강조하기 위한 것입니다. 예를 들어, 비율이 90/10 또는 70/30일 수 있습니다. 정확한 분포는 특정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근본적인 개념은 동일합니다. 소수의 원인 또는 입력이 종종 효과 또는 결과의 대부분을 차지한다는 개념이니까요.

80/20 규칙은 의사 결정 및 자원 할당에 유용한 지침이 될 수 있습니다.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몇 가지 중요한 요소를 파악함으로써, 최대한의 결과를 얻기 위해 노력, 리소스 및 관심을 해당 영역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모든 요인이나 입력이 원하는 결과에 동일하게 기여하지 않는다는 점을 인식하여 우선 순위 지정과 효율성을 장려합니다.

전반적으로 파레토의 법칙, 즉 80/20 규칙은 원인과 결과의 불균형 분포를 이해하는 데 귀중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합니다. 이 원칙을 인식하고 활용함으로써 개인과 조직은 자신의 노력과 자원을 최적화하여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백화점 매출도 VIP 20%가 80%이상의 매출을 올려준다던가 등 실제 경제영역에서도 많이 관찰되는 법칙입니다. 꼭 2:8 이 되는 것은 아니나 그런 경향이 있는것으로 해석하시면 됩니다.  이를 활용한 마케팅도 많이 있는것 같습니다. 우리 인생에도 곰곰히 생각해 보면 파레토의 법칙이 적용되는 것들이 많이 있을것 같습니다. 100%에 집중하기 보다는 20%에 집중하며 조금은 여유롭게 살아봐도 될것 같습니다. ^^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