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PCE)란?

by 해피다이어리 2023. 2. 27.
728x90
반응형
SMALL

코로나로 인한 인플레이션 상황이 정점을 찍고 디스인플레 발언까지 나왔으나 최근 분위기는 심상치 않습니다. 소비자물자지수도 생각보다 높게 나오고 개인소비지출물가지수도 예상치를 상회한 수치가 나왔습니다. 오늘은 PCE지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개인소비지출물가지수(PCE Index)

1) 개인소비지출물가지수(PCE Index)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미국의 가계가 구매하는 재화와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인플레이션 지표입니다. 소비자가 구매하는 헬스케어, 주택, 식품, 교통 등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을 담아내기 때문에 중요한 인플레이션 지표 중 하나로 꼽히고 있습니다. 토지 및 건물 구입비는 제외되고 법인이 아닌 개인과 민간비영리단체가 대상이 됩니다. 경기후행지수 중 하나 입니다.

2) PCE 지수는 개인 소비 지출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며, 이는 경제 분석국(BEA)의 국민 소득 및 제품 계정(NIPA)에 보고된다. BEA는 조사 및 행정 기록을 포함한 다양한 출처에서 가계 지출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 정보를 사용하여 미국 가계가 재화 및 서비스에 지출한 총 금액을 추정합니다.

3) PCE 지수는 특정 연도의 고정된 상품과 서비스 바구니의 비용을 기준 연도의 동일한 상품과 서비스 바구니의 비용과 비교하여 계산되고, 기준 연도는 현재 2012년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이는 PCE 지수가 2012년의 고정 상품 및 서비스 바구니의 비용에 대한 변화를 반영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4) PCE 지수는 시간에 따른 소비자 행동의 변화를 고려하기 때문에 소비자물가지수(CPI)보다 더 포괄적인 인플레이션 척도로 여겨지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소고기 가격이 인상되면 소비자들은 닭고기로 전환할 수 있고, PCE 지수는 이러한 행동 변화가 반영되지만 CPI는 그렇지 않습니다.

PCE 지수는 연방준비제도이사회가 통화정책을 수립하는 데 사용되기 때문에 경제학자들과 정책입안자들이 면밀히 주시하고 있습니다. 연방준비제도이사회는 인플레이션을 장기적으로 2%의 목표금리로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금리 및 기타 정책 도구에 대한 결정을 내릴 때 PCE 지수를 주요 지표 중 하나로 사용합니다.

2. PCE 지수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PCE 지수는 미국 경제의 인플레이션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이며, 경제 활동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PCE 지수가 경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영향 중 몇가지에 대해 알아보면 

1) 통화 정책

연방준비제도이사회는 금리 결정을 포함한 통화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PCE 지수를 사용하고 있어 물가상승률이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목표금리인 2%를 상회하는 것으로 PCE지수가 나타나면 중앙은행이 경기를 식히고 과열을 막기 위해 금리를 올릴 수도 있습니다. 반대로 PCE지수가 목표금리를 밑돌면 연준이 금리를 낮춰 경제활동을 자극하고 물가상승률을 끌어올리려 할 것입니다.

2) 소비자 행동

PCE 지수의 변화는 소비자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물가가 빠르게 오르고 있다는 것을 지수가 보여주면 소비자들은 지출을 줄일것이고 이에 따라 경제 성장이 둔화될 수 있습니다. 반면 물가 상승 속도가 더디면 소비자들이 소비할 가능성이 높아져 경제활동이 활성화 되게 됩니다.

3) 비즈니스 의사 결정

PCE 지수는 비즈니스 결정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요. 물가가 빠르게 오르면 기업들은 재료비와 인건비가 비싸져 이익이 줄고 투자와 고용 감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반면 물가가 더 느리게 상승한다면, 기업들은 투자를 늘리고 확장할 가능성이 더 높게 되고 이로인해 경제 성장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의 정점이 지난줄 알았는데 아직 확실치 않은 형국입니다. 자산시장에 투자하기 전에 업데이트 된 핵심지표를 검토해 보고 투자결정을 해야겠습니다.


함께 읽으면 도움이 되는 글

2023.02.15 - [경제] - 소비자물가지수 CPI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