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은행 건전성 체크시 필요한 BIS 자기자본비율

by 해피다이어리 2024. 1. 30.
728x90
반응형
SMALL

BIS 자기자본비율이라고 많이들 들어보셨을겁니다. 은행에 자기자본비율이 어느정도 되는지를 통해서 건전성 안전성을 체크하는 기준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당연히 높아야 좋습니다.

1. BIS이란?

Bank for International Settlements 국제결제은행의 약자입니다. 1930년 독일의 전후 배상문제를 처하기 위해 스위스 바젤에 주요한 당사국들의 출자로 만들어졌습니다. 각국 중앙은행간의 통화결제나 예금업무등에 대한 일을 하는 곳입니다. 중앙은행의 은행이라고 불리우기도 합니다. 

스위스 바젤의 국제결제은행

 

2. 자기자본비율이란?

BIS자기자본비율은 BIS산하의 바젤위원회에서 정하고 있는데요. 부실채권등의 위험자산이 얼마나 되는지를 체크하는 비율입니다.우리나라도 1993년에 도입을 하였고 8%를 권고 하고 있습니다. 

산출공식 : 자기자본비율=(자기자본/위험가중자산)×100>8%

금융당국에서는 자기자본비율이 8%가 이하가 되면 경영개선권고 및 명령등의 조치를 취할수 있고 과거 외환위기때는 퇴출을 하기도 했습니다.

최근 바젤위원회에서 바젤3 조약이 발표되어 시행중인데요. 바젤 3는 종전 보다 강화되어 자기자본비율은 8%로 그대로 두되 보통주 자본비율은 4.5% 이상, 티어1 비율은 6%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3. 우리나라 은행 BIS비율(2023년 9월 기준)

출처 : 금융감독원

자기자본비율들이 다 높은상황이라 안전한 편이라 할수 있습니다. 그러나 금융환경이 갑작스럽게 어떻게 변할지 모르므로 자기자본비율만 믿고 있으면 안됩니다. 과거 저축은행 사태때에는 BIS비율이 조작되서 공시가 되기도 했었으니까요. 또 최근 미국에서도 중소은행이긴 하지만 뱅크런 사태가 벌어지기도 했습니다. 국내에서는새마을금고 사태도 있었구요.

상기보도자료는 금융감독원에서 정기적으로 공시하고 있으니 홈페이지에 가셔서 보시면 됩니다.

728x90

4. 부실채권

자기자본비율이 낮아지게되면 대체로 부실채권이 늘어나는 경우들이 될텐데요. 은행에서는 이 부실채권을 대량 매각하고 있습니다. 부동산 투자 또는 경매 공부를 해 보신분들은 많이 들어보셨을텐에  이게 NPL 입니다. 부실채권을 다른 회사에 매각하여 건전성을 유지하는데 이 부실채권을 매수하는쪽에서는 돈을 벌수있는 기회가 생기게 되는 것입니다. 

예를들어 10만원 짜리 백화점 상품권이 필요한 경우 가장 저렴하게 사는 방법은 구두방 같은 곳에서 사는 것 입니다. 10만원짜리 상품권을 95,000원에 사서 백화점 가면 10만원으로 사용할수 있습니다. 5천원을 벌수 있는 셈인데요. 이를 근저당권에 대입하시면 개념이해가 쉬우실겁니다. 원금과 이자가 1.2억원인데 이를 1억원에 사와서 경매절차에서 1.2억원의 배당을 받는 식이 됩니다. 

최근 이 시장에 참여하는 분들이 많아 매입가격이 높아지긴 했으나 그래도 부실채권투자로 돈을 벌고 계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BIS자기자본비율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우리나라는 금융감독원에서 금융시장에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잘 관리해 주고 있는것 같습니다. 

 

https://link.coupang.com/a/boPneq

 

설날 명품 혼합과일 세트

COUPANG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상식] 중진국 함정이란?  (260) 2024.02.05
BSI 기업경기실사지수  (258) 2024.02.01
나스닥(Nasdaq) 기초지식  (188) 2024.01.15
S&P 500 지수에 대하여  (183) 2024.01.13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Dow Jones industrial average)  (158) 2024.01.0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