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들은 돈을 벌거나 지출한 경우 가계부를 씁니다. 기업이나 개인사업자는 장부기장을 하고 있구요. 그렇다면 국가도 이러한 내용들을 정리하고 있을까요? 네 당연히 하고 있습니다. 국가의 가계부는 어떤 내용으로 되어 있을까요?
1.국제수지
먼저 국가의 가계부를 이해하려면 국제수지에 대해 알아야 합니다. 국제수지란
일정기간 동안 일국이 다른 나라와 행한 모든 경제적 거래를 체계적으로 분류한 것을 말하고, 이를 표로 나타낸 것을 국제수지표라고 한다. (출처 : 두산백과)
이렇게 정의합니다. 통합적인 내용이라고 보시면 되는데요. 1년단위 또는 분기별로 집계하여 분석합니다. 국제수지를 나눠보면 크게 경상수지와 자본수지로 나누게 됩니다.
2. 경상수지
경상수지는 상품 및 서비스의 수출입, 투자 수입, 해외 원조 또는 송금 등의 이전과 관련된 거래를 기록합니다.
다음과 같은 여러 하위 계정으로 구성됩니다
1) 무역(상품)수지 : 한 국가의 수출과 상품 수입의 차액을 나타내는 수지입니다
2) 서비스 : 교통, 관광, 은행, 보험, 컨설팅 등 서비스와 관련된 거래가 이에 해당합니다. 우리나라는 유학가는 사람들도 많고 해외여행이 많아 이 부분은 적자인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3) 본원소득 : 배당금, 이자 등 해외투자에 대한 수익은 물론 종업원 보수(임금 및 급여)도 포함됩니다. 해외에서 번 돈을 국내에 송금한 경우는 플러스(손흥민 등) 해외기업이 국내에서 번돈을 자국에 송금하면 마이너스개념이 됩니다.
4) 2차 소득(경상이전수지) : 여기에는 외국인 노동자로부터의 송금, 공식 원조 및 보조금과 같은 상품 또는 서비스의 교환이 아닌 국가 간의 자금 이전이 포함됩니다.
경상수지 흑자는 한 나라가 수입보다 수출을 더 많이 하고 있고, 외국인 투자와 이전으로 벌어들인 수입이 돈을 갚는 것보다 더 많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적자는 당연히 그 반대의 상황을 의미합니다.
3. 자본수지
자본 수지는 국가와 세계 간의 금융 자산 및 부채 소유권 이전을 포함하는 자본 거래를 말합니다.
1) 외국인 직접 투자(FDI): 이것은 한 국가의 회사 또는 개인이 다른 국가에 위치한 사업 이익에 투자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2) 포트폴리오 투자: 주식 및 채권과 같은 금융 자산에 대한 투자가 포함됩니다.
3) 기타 투자: 대출 및 기타 단기 투자를 포함합니다.
4) 준비자산의 변동: 한 국가의 외화, 금, 특별인출권(SDR) 및 국제통화기금(IMF)의 준비금 포지션의 변동을 의미합니다.
자본수지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이동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자본의 이동을 나타내는 수지 입니다. 상품이나 서비스의 이전에 대한 부분은 경상수지로 포함이 될것 입니다. 국내기관에서 해외주식등에 투자하면 자본수지는 마이너스가 될것이고 해외기업이 국내주식에 투자한다면 자본수지는 플러스가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자본 수지의 흑자는 국내로 더 많은 자본이 유입되고 있음을 나타내며, 적자는 그 반대를 나타냅니다.
4. 우리나라 경상수지
1) 경상수지 추이
경상수지가 작년 여름보다는 높은 흑자 상태입니다. 22년 1월부터 23년 상반기까지는 경상수지가 적자였습니다. 일반적으로 경상수지 흑자상태가 되면 달러가 많이 들어 오게 되어 원화는 가치가 떨어지게 된다고 합니다.
KB증권에서는 경상수지 흑자이지만 환율하락 효과는 제한적이라고 분석했습니다.
2) 자본수지
금융계정은 자본수지를 포함한 좀 더 포괄적인 데이터로 이해하시면 되는데요. 현재로서는 금융계정도 플러스 상태입니다.
국가도 돈을 많으면 좋겠지만 흑자상태인 경우에도 인플레이션, 환율등의 문제가 발생할수가 있으므로 이를 조절하는게 중요하다고 합니다. 마이너스 상태가 된다면 부채등이 많은 경우 갚을 능력이 안될수도있어 문제가 발생하게 되구요. 경제정책에는 이러한 부분들을 조율하는 것이 포함되는 이유입니다.
우리나라는 수출로 먹고 사는 나라라는 표현을 많이 쓰고 있습니다. 상품수지가 플러스로 되는 이유가 되는데요. 반도체 등 주력 산업이 계속 잘 나가줘야 하는데 무한경쟁의 시대에 넘어야 할 산이 많을 것으로 보입니다.
https://link.coupang.com/a/br9ydk
몰티져스 밀크초콜렛 버켓, 465g, 1개
COUPANG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TBT(Technical Barriers to Trade) 무역기술장벽이란? (136) | 2024.03.13 |
---|---|
SDV(Software Defined Vehicle) 에 대하여 (226) | 2024.03.10 |
생계비 상당의 압류금지채권인 150만원의 입증책임은? (286) | 2024.02.25 |
독점과 과점에 대하여 (193) | 2024.02.16 |
전방산업과 후방산업이란? (291) | 2024.02.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