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우리나라가 선진국지수에 편입려고 하는 MSCI지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MSCI지수란?
Morgan Stanley Capital International 의 약자인 MSCI 지수는 글로벌 주식 시장의 성과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벤치마크입니다. 전 세계 투자자와 펀드매니저들이 가장 널리 사용하는 지수 중 하나입니다. 모건스탠리캐피탈사에서 발표하고 있습니다. FTSE지수와 함께 국제금융펀드의 투자기준이 되는 대표적인 지수입니다. 한국은 FTSE지수에는 선진국에 편입되어 있지만 MSCI지수에는 아직 입니다.
MSCI 지수는 그것이 대표하는 각 국가의 자유 변동 조정 시가총액의 약 85%를 차지하며, 이는 세계 주식 시장을 매우 대표하는 척도가 됩니다. 이 지수에는 중국, 인도, 브라질 등 23개 선진국 시장과 27개 신흥국 시장의 대형주와 중형주가 포함됩니다.미국계 펀드에서는 95%가 이 지수를 기준으로 삼고 있다고 합니다. 거의 대부분의 펀드가 이 지수를 추종하고 있는 것입니다.
지수는 시가총액 비중이 높은 것으로, 시가총액이 가장 큰 기업이 지수에서 가중치가 가장 높다는 의미입니다. 지수는 기초 기업의 시가총액 변화를 정확하게 반영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재조정됩니다.
MSCI 지수에 포함되는 것은 기업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는 투자자들에게 회사의 가시성을 높여 잠재적으로 주가를 높이고 자본 조달을 용이하게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지수에 포함되면 지수 추적 펀드와 상장지수펀드(ETF)가 지수의 성과를 복제하려고 하기 때문에 회사 주식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2. MSCI ACWI Index market allocation
아직 한국은 이머징마켓에 위치해 있습니다. 선진지수로 편입되기 위해 계속 준비를 해오고 있는데요. 머지 않아 편입되겠죠?
3. 선진지수 편입
선진지수 편입을 위해서는 외국인지분보유 개방성, 자본 유출입 용이성, 증시운영효율성 등에서 좋은 평가를 받아야 하는데 공매도 등 해결이 어려운 문제가 있기도 합니다. 선진지수 편입을 위해 계속 노력중이나 얼마전 MSCI회장 방한시 좋은 얘기가 안나오기도 했습니다. 증권가의 전문가들은 2025년 이후나 될것으로 보고 있는데요. 편입이 된다면 우리나라의 위상도 올라가고 주식시장도 현재보다는 더 좋아질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므로 편입노력의 결실이 맺어졌으면 좋겠습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후행지수에는 어떤것들이 있을까? (0) | 2023.04.18 |
---|---|
경기지표 중 선행지수에 해당되는 지표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4.11 |
PMI지수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3.21 |
미래에 AI로 대체될수 있는 직업에는 어떤게 있을까? (0) | 2023.03.17 |
연방준비제도(FED)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0) | 2023.03.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