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번에 이어 오늘은 경기지표 중 하나인 경기후행지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경기후행지수
후행지수는 경제의 과거 성과를 반영하는 경제 지표이며, 미래 추세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는 선도적인 지표와는 반대입니다. 후행지수는 일반적으로 이미 발생한 추세를 확인하는 데 사용되며 과거 정책 및 경제 상황의 효과를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다음은 후행지수 지표의 몇 가지 예입니다
1) 국내총생산
GDP는 한 나라의 경제적 산출량을 측정하는 척도이며 종종 경제의 건전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하지만 GDP는 보통 4분의 1 이상의 기간 동안의 경제 성과를 반영하기 때문에 후행 지표로 분류됩니다.
2) 실업률
실업률은 실업자의 노동력 비율을 측정합니다. 일반적으로 일자리 감소가 이미 발생하거나 일자리 증가가 이미 발생한 후에 보고되기 때문에 후행 지표입니다.
3) 소비자 물가 지수(CPI)
CPI는 시간에 따른 상품과 서비스 가격의 변화를 측정합니다. 수급 변화나 생산원가 변화 등 이미 경제에서 발생한 변화를 반영하기 때문에 후행 지표입니다.
4) 비즈니스 재고
사업재고는 기업들이 재고를 보유하고 있는 상품의 양을 나타나는데 과거의 생산 수준과 매출을 반영하기 때문에 후행지표입니다. 5) 기업 이익
기업 이익은 기업의 수익성을 반영하는데 이는 기업들의 과거 재무 실적을 반영하기 때문에 후행 지표로 분류됩니다.
2. 미국 컨퍼런스보드 후행지표
미국 컨퍼런스보드에서 매월 발표하는 후행지표는 다음 7가지 입니다.
- 실업률 평균 지속(역전)(The average duration of unemployment (inverted))
- 미환급 상업대출 및 기업대출 가치(The value of outstanding commercial and industrial loans)
- 서비스업에 대한 소비자가격지수 변화(The change in the Consumer Price Index for services)
- 산출 단위 당 노동 비용 변화(The change in labour cost per unit of output)
- 판매 대비 제조 및 무역 재고 비율(The ratio of manufacturing and trade inventories to sales)
- 개인소득 대비 소비자 신용 미지급 비율(The ratio of consumer credit outstanding to personal income)
- 은행 지급 평균 우대 금리(The average prime rate charged by banks)
통상 고용은 경기가 좋아지면 2~3개월 정도 뒤에 좋아지므로 후행지표로 분류되어 분석되고 있습니다.
3. 우리나라의 경기후행지수
1) 상용 임시 근로자수
고용관련지표로서 상용근로자수가 늘어났다면 경기가 좋아졌다는 반증이 될 것입니다
2) 생산자제품재고지수
제조업체가 보유하고 있는 재고물품의 물동량을 측정한 지표입니다. 재고가 많이 쌓인다면 경기가 안 좋다는 해석이 가능할것입니다.
3) 회사채유통수익율
회사채유통수익율은 금리얘기입니다. 기업에서 자금을 구하는 방법에는 회사채발행(채권발행)과 은행에서 차입하는 방법, 상장회사의 경우에는 주식시장을 통해 얻는 방법이있는데요 이 중 회사채 발행 수익율이 높다는 얘기는 금리가 높다는 얘기가 됩니다. 자금구하기가 어렵다는 말이 되겟지요.
4) 가계소비지출
가계소비지출이 줄었다면 경기가 안좋았다는 결과일 것입니다. 소비가 안되니 생산자에게는 재고가 많이 쌓일수 있겠습니다.
5) 소비재수입액
지난 과거의 경기가 좋았다면 수입액이 늘어났을 것입니다. 이를 후행지표로 보고 활용하고 있습니다.
후행지표이므로 지난 과거의 경제상황을 해석해 볼수 있는 지표들입니다. 따라서 다른 지표들과 같이 보면서 참고적으로 분석하면 될 지표들입니다. 다음에는 경기동행지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함께 읽으면 좋을글
2023.04.11 - [분류 전체보기] - 경기지표 중 선행지수에 해당되는 지표에 대해 알아보자
경기지표 중 선행지수에 해당되는 지표에 대해 알아보자
경제와 관련된 경기지표에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이 지표들은 선행지표로 해석되기도 하고 후행지표로 해석되기도 합니다. 미국 컨퍼런스보드 기준을 가지고 선행지표와 후행지표에 각각 어떤
happydiary-7.tistory.com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레너미(Frenemy)를 아십니까? (2) | 2023.05.11 |
---|---|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란? (0) | 2023.04.21 |
경기지표 중 선행지수에 해당되는 지표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4.11 |
MSCI 지수 (0) | 2023.04.05 |
PMI지수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3.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