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중국의 PMI지수가 10년만에 최고치라는 뉴스가 나왔는데요. 오늘은 PMI지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구매관리자 지수(PMI)
구매관리자지수(PMI, Purching Managers' Index)는 한 국가의 제조업 부문의 건전성을 측정하는 데 널리 사용되는 경제 지표로 PMI 지수는 월별로 다양한 업종의 구매 담당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여 현재의 업황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인 지수입니다.
PMI 지수는 신규 수주, 생산, 고용, 공급업체 납품, 재고 수준 등 여러 주요 지표를 고려해 산출하고 그런 다음 조사 결과는 0에서 100 사이의 단일 인덱스 번호로 컴파일됩니다. 지수가 50을 넘으면 제조업 부문의 확장을, 50을 밑돌면 수축을 의미한다고 보고 있습니다.
PMI 지수는 경제학자, 투자자, 정책 입안자들이 전반적인 경제 건전성의 지표로 예의 주시하는 지표중 하나입니다. 종종 더 광범위한 경제 동향의 선도적인 지표로 여겨지는 제조 부문의 상태에 대한 정보이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PMI 지수가 증가하고 있다면, 기업들이 생산을 늘리고 인력을 더 많이 고용하고 있다는 것을 암시할 수 있으며, 이는 경제 활동과 성장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그리고, PMI 지수는 다른 나라의 제조업 부문의 성과를 비교하는 데 사용되는데 국가 간 PMI 지수를 비교함으로써, 투자자들은 국가간 다른 경제의 상대적인 강점에 대한 통찰력을 얻고 그에 따라 투자 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PMI 지수는 제조 부문과 더 넓은 경제의 건전성을 이해하는 데 귀중한 도구이고 기업, 투자자 및 정책 입안자에게 적시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2. 미국 제조업 PMI지수
미국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미국 내 제조업 부문의 건전성을 측정하는 경제지표입니다. 이 지수는 제조업 구매 담당자를 대상으로 신규 주문, 생산, 고용, 공급업체 납품, 재고 등 다양한 요인에 대해 보고를 요청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취합한 데이터입니다.
미국 PMI도 마찬가지로 위의 요인들을 가중 평균하여 계산되며, 50점 이상은 제조업 부문의 확장을, 50점 미만은 수축을 나타냅니다.
미국 제조업 PMI는 공급망 전문가를 대상으로 교육 및 인증을 제공하는 비영리 단체인 ISM(Institute for Supply Management)이 매월 발행하고 있고, ISM 조사에는 미국 전역의 400개 이상 제조업체의 구매 담당자들의 답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 주요국가별 최근 발표된 PMI지수
국가 | 최근지표 | 전달지표 | 최근발표 | 비고 |
미국 | 47.3 | 46.9 | 23년 2월 | |
대한민국 | 48.5 | 48.5 | 23년 2월 | |
일본 | 47.7 | 48.9 | 23년 2월 | |
중국 | 51.6 | 49.2 | 23년 2월 | |
독일 | 46.3 | 47.3 | 23년 2월 |
일부 좋아지는 나라들도 있으나 아직 지표가 좋아지지않고 있는 나라들도 있는 상황으로 보입니다. 경제지표를 통해 현재 어디쯤 일지 앞으로는 어떻게 될지를 예측해 봐야겠습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지표 중 선행지수에 해당되는 지표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4.11 |
---|---|
MSCI 지수 (0) | 2023.04.05 |
미래에 AI로 대체될수 있는 직업에는 어떤게 있을까? (0) | 2023.03.17 |
연방준비제도(FED)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0) | 2023.03.10 |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PCE)란? (0) | 2023.02.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