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슈링크플레이션이라는 단어가 종종 등장하는데요. 이 인플레이션은 무슨 내용일까요?
1. 슈링크 플레이션
슈링크플레이션은 영국의 경제학자 피파 맘그렌(Pippa Malmgren)이 만든 용어로, '줄어들다'라는 뜻의 '슈링크(shrink)'와 '물가가 상승하는 현상'을 나타내는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입니다.
'슈링크플레이션'은 제조사가 제품가격을 올리기보다는 가격을 유지하면서 제품의 크기나 수량을 줄이는 전략을 일컫는 말로, 이를 통해 기업들이 가격을 노골적으로 올리지 않고 원자재비용이나 제조원가 상승 등의 생산원가 상승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
2. 소비자와 슈링크플레이션
소비자에게 슈링크인플레이션은 기존 제품에 대해 동일한 금액을 지불하지만 내용물 등을 더 적게 받는 것을 의미하게 됩니다.. 식품(예: 초콜릿 바, 질소충전 과자), 가정용품(예: 화장지 롤, 세탁 세제) 또는 개인 관리 용품(예: 샴푸 병, 비누 바)과 같은 포장 제품에서 종종 볼 수 있습니다. 제품 크기의 감소는 미세하여 소비자가 즉시 변화를 알아차리기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이 회사 수익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하는 것은 가격 상승에 따른 매출 감소를 크게 감수하지 않고 인플레이션이 회사 수익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하기 위한 것인데, 미묘한 변화처럼 보일 수도 있지만, 같은 금액에 비해 상품을 덜 받을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소비자의 구매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질소과자의 경우 질소를 사면 과자를 덤으로 준다고 할 정도로 비꼰 얘기들도 많이 회자가 됬었습니다.
일부 소비자들은 이러한 변화를 알아차렸을 때, 특히 제품 크기의 축소가 명확하게 전달되지 않을 경우, 속거나 불만을 느끼게 되고 기업이미지에 안좋은 영향을 미칠수도 있을것입니다. 최근 경제부총리도 이에 대한 언급을 해 주셨네요. 물가가 오르니 제조사들도 원가부담등으로 어쩔수 없는 상황이 만들어지겠지만 상생할수 있는 아이디어를 많이 내주셨으면 합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픽스 금리가 또 오른다고 합니다. (8) | 2023.11.16 |
---|---|
플라시보 효과에 대하여 (4) | 2023.11.15 |
베블런 효과란? (6) | 2023.11.08 |
3년 5개월만에 사이드카 발동 & 서킷브레이커 (7) | 2023.11.06 |
전세보증금 대위변제 회수 15%에 불과 (8) | 2023.10.04 |
댓글